정보처리기사_2과목_소프트웨어개발(0)
2021. 2. 12. 15:47ㆍ공부/정보처리기사
728x90
반응형
데이터 입출력 구현
자료구조 정의 = 자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자료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구성하고 저장 및 처리하는 모든 작업 구성 1. 선형 구조 : 데이터 항목 사이의 관계가 1:1 >> ex) 배열,리스트,스택,큐,데크 2. 비선형 구조 : 데이터 항목 사이의 관계가 1:n(일대다) >> ex)트리, 그래프 연결리스트의 개요 연결리스트는 다음 데이터를 포인터를 이용하여 찾아내며, 노드는 자기참조구조체(데이터 필드, 포인터 필드)이다. **주소 스택 - LIFO,후입선출 - 제한된 구조로 원소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(TOP)에서만 이루어지는 유한 순서리스트 - 스택의 응용: 수식계산, 복귀주소관리, 순환식, 퀵 정렬, 깊이 우선 탐색, 이진트리 운행 큐 - FIFO, 선입선출 - 한쪽 끝(REAR)에서 원소의 삽입만, 다른 쪽 끝(FRONT)에서는 우너소의 삭제만 허용 - 큐의 응용 : 작업 스케줄링, 너비우선 탐색 , 트리의 레벨 순회 데크 - 스택 + 큐 트리 - 계층형 자료구조(Hierarchical data structure)의 나무 형태로 노드들을 간선으로 연결 - 이진트리 = 자식이 2개까지 허용 ※ 트리의 용어 형제(siblings) : 한 부모의 자식들이다. 트리의 차수 : 그 트리에 있는 노드의 최대차수이다. 단말노드 : 자식 없는 노드 ★트리의 순행(운행) 전위,중위,후위 ![]() 전위,중위,후위 순회 방법 경로의 종합적인 표현 예 ![]() 그래프 |
알고리즘 알고리즘의 정의 컴퓨터로 문제를 풀기위한 단계적인 절차,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집합 알고리즘의 조건 1. 입력 : 외부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0개 이상 있다. 2. 출력 :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생성한다. 복잡도 => 얼마나 많이 쓰는지 프로그램 공간의 복잡도(space complexity) -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완료하는 데 필요한 총 저장 공간을 말한다. 프로그램 시간의 복잡도 -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. 연산 시간의 크기 순서 ![]() 정렬 알고리즘의 복잡도 정렬종류 평균 최악 버블정렬 O(n²) O(n²) 선택정렬 O(n²) O(n²) 삽입정렬 O(n²) O(n²) 퀵정렬 O(n log²n) O(n²) |
728x90
'공부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_2과목_소프트웨어개발(2) (0) | 2021.02.23 |
---|---|
정보처리기사_2과목_소프트웨어개발(1) (0) | 2021.02.15 |
정보처리기사_1과목_소프트웨어설계(2) (0) | 2021.02.10 |
정보처리기사_1과목_소프트웨어설계(1) (0) | 2021.02.02 |
정보처리기사_1과목_소프트웨어설계(0) (0) | 2021.02.01 |